본문 영역으로 건너뛰기
[편집자말] 올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70년간 끝나지 않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은 제주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한 군인들이 제주에서 훈련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작전의 주축이 됐던 해병대 3, 4기 대부분이 제주도민이라는 점도 그렇습니다. 제주도민들은 제주4·3 기간 중 한국전쟁을 겪었습니다. 이 기간 중 육지에서는 '보도연맹'이라는 이름으로 민간인 학살이 자행됐고, 제주에서는 '예비검속' 학살이 벌어졌습니다. 제주에서 예비검속으로 피해를 당한 사람들의 다수는 4·3 국면에서 정부에 의해 '요시찰 인물'로 분류된 사람들입니다. 제주에서 제주4·3과 한국전쟁은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한국전쟁 70년을 맞아 제주다크투어와 제주4·3희생자유족청년회는 10월 8일부터 총 5강에 걸쳐 <제주4·3과 한국전쟁> 강연을 개최했습니다. 5강 후기는 제주다크투어 신동원팀장이 작성했습니다.

지난 11월 3일 <제주4·3과 한국전쟁>의 마지막 강연이 열렸습니다. 이날은 박석진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상임활동가님을 모시고 '공공의 기억 : 한국전쟁은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가'를 주제로 강연이 진행됐습니다.

앞서 다른 선생님의 강연에서 역사는 과거에 일어났던 사실 그 자체로서의 역사와,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해온 과거사 정리로서의 역사 등 두 가지의 측면이 있다는 내용을 들었습니다. 이 강연은 이 가운데 후자의 역사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바로 우리사회는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 그리고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모뉴먼트(monument)'와 '메모리얼(memorial)'이 바로 그것인데요. 모뉴먼트가 자랑스러운 것은 기념한다는 느낌의 기억 방식이라면, 메모리얼은 비극적인 것은 추념한다는 의미의 기억 방식이라고 합니다. 둘 다 과거를 기억하는 개념이지만, 그 방식이 사뭇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승자의 기억법'이라 할 수 있는 모뉴먼트는 영웅, 정복, 승전, 무기 등을 기억의 중심에 놓습니다. 반면 메모리얼은 희생자들의 고통과 상실 등 전쟁의 폐해를 중심에 놓습니다.

강연에서는 특히, 모뉴먼트적 기억법에 대한 설명이 심도 깊게 이뤄졌는데요. 그 이유는 이 기억의 방식이 한국사회가 주로 취해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분위기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핵심은 전쟁의 미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전사자 숭배입니다. 이를 통해 전쟁에 참전한 군인 개개인의 죽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보다는 이를 맹목적으로 애도해야 한다는 하나의 이미지를 도식화하여 이러한 것들을 말할 수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전사자 본인 및 유족의 고통은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는 셈이지요. 피해 구제는 꿈도 꿀 수 없는 영역 너머로 사라지게 됩니다. 이는 일면 종교의 기제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종교화된 전쟁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잊게 하고 젊은이들을 '자발적으로' 전쟁터로 나아가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서울 용산에 있는 전쟁기념관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강연을 통해 본 이 곳은 전형적으로 전쟁을 모뉴먼트하는 공간이었습니다. 한국전쟁 발발과 관련한 편향된 시각의 전시가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특히, 주요한 사실을 배제하는 기법(?)으로 한국전쟁을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한국전쟁 발발 당시 대한민국 정부의 무능, 인천상륙작전 및 고지전에서의 민간인 피해, 한국군 및 연합군 위안부 운영 등 한국전쟁과 관련한 주요한 사실들이 배제되었습니다. 심지어 제주4·3에 관한 왜곡된 소개 내용이 전시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전쟁기념관을 바꿔내기 위한 실천들도 소개되었습니다. 전쟁기념관의 실상을 알리는 홍보 캠페인에서부터 기자회견, 사진전 등이 그것이었습니다. 강연을 듣다보니 지난 7월 강원도 양구에 있는 전쟁기념관을 방문했을 때가 떠올랐습니다. 당시 양구 전쟁기념관에서도 전쟁을 모뉴먼트하는 전시 방식이 주를 이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비록 운영이 중단된 상태였지만 동전을 놓고 화면에 있는 '적군'을 향해 총을 쏘는 오락기계가 있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던 일이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지적한 글을 신문사에 송고해서 기사화됐었는데요. 이러한 시도도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에 대해 변화를 촉구하는 실천이었나 싶습니다. 지나간 과거는 바꿀 수 없습니다. 그러나 과거를 기억하는 방식은 바꿀 수 있겠지요. 우리 제주다크투어도 이 일에 앞장서겠습니다.


관련 글들

국내외 연대활동
2024.11.12.

[공동기자회견] 전쟁 프로세스를 평화 프로세스로! 윤석열 정권의 정책 전환을 촉구한다

자세히 보기
제주다크투어 이야기
2024.10.30.

참 정부가 무도하고 너무 악질이다

자세히 보기
제주다크투어 이야기
2024.10.30.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런 재판 있을 수 없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