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으로 건너뛰기
[편집자말] 올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70년간 끝나지 않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은 제주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한 군인들이 제주에서 훈련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작전의 주축이 됐던 해병대 3, 4기 대부분이 제주도민이라는 점도 그렇습니다. 제주도민들은 제주4·3 기간 중 한국전쟁을 겪었습니다. 이 기간 중 육지에서는 '보도연맹'이라는 이름으로 민간인 학살이 자행됐고, 제주에서는 '예비검속' 학살이 벌어졌습니다. 제주에서 예비검속으로 피해를 당한 사람들의 다수는 4·3 국면에서 정부에 의해 '요시찰 인물'로 분류된 사람들입니다. 제주에서 제주4·3과 한국전쟁은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한국전쟁 70년을 맞아 제주다크투어와 제주4·3희생자유족청년회는 10월 8일부터 총 5강에 걸쳐 <제주4·3과 한국전쟁> 강연을 개최했습니다. 4강 후기는 곽은비님이 작성해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설탕, 밀가루, 커피

간장, 된장, 고추장 ⇒ ‘밀가루’로 만듦.

우리들이 알고 있는 전쟁 경험은 한결같다.

그러나 실제 전쟁 경험은 한결같지 않다.

한결같지 않은 전쟁 경험에도 전쟁 미망인에게 발견된 공통점은 ‘국가폭력’.

Q. '미망인(未亡人)'이 남편과 함께 죽었어야 했는데 아직 죽지 못하고 살아있다는 뜻으로 여성이 스스로를 낮춰 일컫는 말이라 배웠습니다. 아직도 여러 곳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데 미망인을 대체할 단어가 있을지, 여쭈고 싶습니다 : )

A. 미망인은 순장에서 유례.

예전 기록에 의하면 미망인 대신 과부라고 지칭했다.

왕들이 수렴청정할 때 미망인이라는 용어가 고귀한 용어로 쓰이기 시작.

미망인은 역사적 용어라고 볼 수 있다,

유가족. 각자의 이름.

Q. 여성에 의한 구술 기록이 현저히 적다. 앞으로 어떻게 구술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지.

A. 이제 연세가 90세 정도. 가능하면 많이 누구든지 많이 남겨 놓는 것이 중요한 자료가 될 것. 한중현, 구술연구단체. 앞으로 많아지지 않을까.

Q. 몇 년 전에 한국전쟁 때 한국군이 운영한 위안부의 존재를 알게 되었는데요, 주로 부역자로 몰린 여성들로 구성되어 부대의 이동과 함께 이동 하였다 라는 내용과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한국군 위안부 연구 진행이 되고 있는지 연구 전망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당시 한국군이었던 남성들의 구술을 들어야 한다. 문헌 자료는 거의 없음. 구술도 기록하고 조사.

Q. 세계적으로 전쟁과 전후 학살사에서 대부분 모든 나라에서 여성에 대한 기록과 증언 채록 등이 없는 편인가요?

A. 많이 없는 편. 한국의 경우에는 거의 없다. 전쟁 미망인조차 조사하지 않았다. 단 한 군데도 없다. 한국은 특이한 경우.

Q. 간장 된장 고추장은 오늘날 유통되는 모든 제품이 6·25 이후 만드는 방식으로 오늘까지 먹거리에 오르는 건가요?

A. 공장에서 발효하지 않고 만든 제품은 다 그 방식으로 만드는 것. 대량생산을 위해 발효하지 않고 빨리 만들고 파는 것.

Q. 여성의 기억으로 한국전쟁을 바라보고 여성들의 이야기를 연구하는 것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준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이 전쟁을 다루는 것이 유럽과 미국에서 다루는 것과 다름. 주로 남성이 전방의 일, 여성은 후방의 일을 하는 것이 2차 세계대전의 프레임. 한국은 전쟁 경험을 한 남성들이 돌아왔을 때 돌아올 곳이 없었다. 여성들은 노동을 했다. 여성들이 경제 전선에서 일을 많이 함. 앞으로 연구가 많이 필요함. 한국이 중화학 공업으로 들어서면서 남성들의 경제활동이 증가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의 활력이 줄어들었다.

+ "주로 부역자로 몰린 여성들로 구성되어 부대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였다···"

이 내용을 저도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일컬어 "담요 부대"라고 지칭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 같은 담요 부대는 한국군 위안부뿐 아니라 주한 미군을 상대로 한 기지촌 여성들에게까지 이어졌다고 합니다.

4.3 채록 당시 당사자 말고 그 동네 남성들의 목소리가 증언으로 어떻게 여성들의 목소리를 가시화시킬 수 있을까? 고민

미국인 한국전쟁에 참전할 때 미국의 이름이 아닌 UN의 이름으로 참여. UN군이라는 이름으로 참전했을 때 책임을 덜 수 있었음.

한국전쟁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게 해준 강의였다. 학교에서 역사를 배울 때는 주로 시간의 순서대로, 어떤 사건의 의의 등을 배웠는데 이번 강의는 실제 그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은 어떠했는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해준 고마운 강의였다. 전쟁 과정 중에서 정부와 군인들의 이야기가 아닌 그 당시 삶을 살아갔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니 나와 동떨어진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 느껴졌다. 전쟁을 겪었던 어른들의 목소리로 그때의 이야기도 들었다. 나는 그 시대를 살아보지 않았지만 그 시대를 살아갔던 사람들과 같은 시대에 살고 있다. 내가 살아가고 있는 지금도 나중에는 누군가 전해 들을 이야기가 되겠지. 그때는 전 세계에 전쟁이 없는 세상이었으면 좋겠다.


관련 글들

활동 소식
2024.5.2.

[방청후기] 무죄 선고로나마 4·3희생자와 유족에게 위로가 되기를

자세히 보기
제주다크투어 이야기
2024.4.30.

제주다크투어 후원회원 명단(2024년 4월)

자세히 보기
제주다크투어 이야기
2024.4.29.

[공시] 2023년 공익법인 결산 및 기부금 활용 명세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