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다크투어에서 3월 6일부터 매주 토요일 17시 5분 CBS 라디오 ‘시사매거진 제주’를 통해 제주4·3 유적지를 소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주다크투어에서 맡은 <흔적에서 교훈으로> 코너는 제주에 존재하는 다크투어 유적지가 잘 보전되고 정확하게 안내가 되고 있는지 역사적 사건과 함께 짚어보는 시간입니다.
4·3유적지에 대한 내용은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와 <4·3은 말한다>에 나오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달하는 것이고, 현지 유적지 관리실태에 대한 내용은 제주다크투어에서 직접 발행한 <다시 쓰는 제주 100년의 역사> 제주지역 다크투어 유적지 국·영문 안내판 조사보고서를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해 전달해드립니다.
많은 청취 부탁드리며, 매주 토요일 17시 5분 라디오 주파수 FM 제주시 93.3MHz, 서귀포 90.9MHz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4·3유적지 라디오] 3월 첫째 주_3.1절 그 날의 함성을 따라
[4·3유적지 라디오] 3월 둘째 주_ 제주4·3이 깃든 그곳 '중문'을 가다
3월의 첫시간은 4·3의 도화선이 되었던 3·1절 발포사건의 배경인 ‘관덕정’과 ‘북국민학교’를 제주다크투어 양성주 대표님이 직접 소개해드렸는데요.
먼저, 관덕정은 제주의 정치·경제·역사의 중심이었고 지금은 제주의 유명 관광지이기도 합니다. 또, 제주4·3을 얘기함에 있어 관덕정은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관덕정은 1947년 3월 1일 3·1절 기념대회에서 발포사건이 있었던 현장입니다. 북국민학교에서 제28주년 3·1절 기념식을 마친 참가자들이 관덕정 앞을 빠져나갈 즈음 어린아이가 기마경관의 말발굽에 치였지만 경찰이 아무런 조치 없이 가버렸습니다. 이에 격분한 군중들의 항의가 이어졌고 이에 대한 경찰의 발포로 6명의 희생자가 발생하고 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그 결과 사상 초유의 3·10 민관총파업이 일어났고 이는 4·3 발발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해방 후, 여운형 선생님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최초의 건국준비단체인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만들어지는데, 이는 이후 ‘인민위원회’로 명칭이 바뀌게 됩니다. 제주도의 경우, 인민위원회의 성격이 강했는데요. 그 이유로 일제강점기 때 제주에는 제주-대판(오사카)의 직항이 있었기 때문에 학문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건너갔었고, 새 세상을 보고 돌아온 주민들은 주민자치형태의 위원회가 필요함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날 3·1절 기념대회를 주도한 것은 좌익 세력의 연합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이었습니다. 당시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는 건국의 5가지 원칙을 이야기했었는데요.
- 기업가와 노동자가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세우자
- 지주와 농민이 다 같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세우자
- 여자의 권리가 남자의 권리가 같이 되는 나라를 세우자
- 청년의 힘으로 움직이는 나라를 세우자
- 학생이 안심하고 공부할 수 있는 나라를 세우자.
지금 봐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건국 5원칙은 당시 사람들의 자주독립에 대한 열망을 보여줍니다.
해방 후 제주도는 일본 등지로 나가 있던 제주인이 6만 명가량 귀환했고, 해방된 조국에는 이들을 수용할 만한 공장이나 일터가 없어 실업률이 최고조로 달했던 시기였습니다.
여기에 군정경찰 82%가 일제 경찰 출신으로 미군정에 대한 분노가 커질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습니다. 해방은 했지만 우리 손으로 이뤄낸 자주독립이 아니었고 삶은 더욱 더 힘들어져만 갔기 때문에 해방 후 두 번째 맞는 3.1절에 제주도민들은 새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열망과 저항의 마음을 가지고 거리로 나섰던 것입니다.
북국민학교에서 열린 ‘제28주년 3·1 기념 제주도대회’의 군중 수는 대략 2만 5천~3만 명으로 제주도민 10명 중 1명꼴로 참가를 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외세를 물리치고 조국의 자주통일 민주국가를 세우려했던 도민들의 간절한 염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북국민학교는 4·3 당시 제주도의 최고 학군이었습니다. 제주도청과 제주읍사무소를 비롯해
법원, 경찰청(제주경찰감찰청) 등이 모여 있는 행정의 중심지였습니다. 상업적으로도 여러 가게들이 모여 있었는데요. 모자점으로 '갑자옥'이 유명했었습니다.
'옥성정'이라는 술집에서는 4·3 당시 도민들을 학살하도록 명령을 내린 박진경 연대장의 축하연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둘 다 4·3 당시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곳이죠. 이외에도 현재까지 명맥을 이어오는 가게도 있습니다.
현존하는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책방 우생당 서점(1945년 설립), 피난 시절 실향민들의 애환을 달래주던 함흥면옥(1953년 설립), 그리고 조일약국(1953년)이 있습니다. 종교적으로도 제주중앙성당과 제주도 개신교의 발상지라고 할 수 있는 최초 교회인 성내교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군사적으로도 9연대 정보과와 헌병대, 미군 CIC방첩대가 있었습니다. 식산은행과 제주신보사도 이 인근에 위치해 있었죠. 이런 이유 때문인지 북국민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자부심이 남 달랐다고 합니다.
1947년 3월 1일 오전 11시쯤 제주국북민학교에서 열린 제28주년 3·1절 기념식에 앞서 오전 9시쯤에는 오현중학교 옛터에서 학생들이 주도로 열린 3.1절 기념식이 열리기도 했습니다. 이 행사에는 제주농업학교, 오현중, 제주중, 제주고등여학교 등의 학생 2,00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행사는 각 학교 3.1절 기념 준비위원회가 주도한 것이라고 합니다.
조금 이후 제주북국민학교에서 열릴 3.1절 기념식의 사전행사 성격을 띠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조일구락부 옛터와 석송여관 옛터, 서북청년단본부 옛터 등 제주시 원도심에는 4·3과 관련한 많은 유적지들이 있습니다.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곳도 많지만, 4·3 당시 이야기를 상상하며 원도심을 걷다보면 어느새 역사의 현장에 한 가운데 자신이 있음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제주다크투어에서 전개한 안내판 조사 결과, 관덕정과 북국민학교 두 곳 모두 4·3과 관련된 안내판이나 소개의 글은 없었습니다.
관덕정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 4·3유적지 종합관리계획> (2019.12)도 중요한 유적지로 선정하고 표석, 안내판을 조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 조성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제주4·3 당시 관덕정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설명이 보강된 유적지 안내판이 설치되어야 하고 당시 관덕정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을 같이 전시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입니다.
그 외에도 안내판 내용이나 보존 등에 있어 문제가 있을 때 연락할 수 있도록 유적지 관리 주체 및 연락처, 설립 날짜 등을 명시해야 합니다.
아울러 제주4·3 관련 안내판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외국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외국어 안내판을 설치해야 하고 이동약자를 위한 경사로 마련, 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음성변환용코드나 점자 안내판이 설치되야 할 것입니다.
방송을 듣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정규 방송 시간 이후 부터 다시 듣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듣기: http://jeju.local.cbs.co.kr/aod/aod_popup.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