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으로 건너뛰기

[답사] 원도심의 '빼앗긴' 기억들을 찾아 <상> (일도, 이도, 삼도, 건입)

이 글의 전 편입니다
(사)제주다크투어에서는 시민들과 함께 4·3 유적지 현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유적지에 대한 문서는 4·3 연구소에서 발행한 제주4·3 유적 I 개정증보판 (2018년), 제주 4·3 유적 II (2004년)을 참조했습니다. 4·3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온라인 지도에 장소들을 기록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주 4·3 유적지의 현재 모습에 대한 기록은 계속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제주의 역사가 난개발의 광풍 속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함께 기억해주세요. 각 유적지는 현재 모습을 담은 사진, 유적지 설명, 찾아가는 법, 위도와 경도, 그리고 해당 유적지와 연관된 다른 유적지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사)제주다크투어의 온라인 4.3 지도 (업데이트 중)

(사)제주다크투어 4.3 유적지 지도

(사)제주다크투어 활동가들이 4.3 유적지 현장을 누비며 기록한 지도입니다
오현중학원 옛터
오현중학원 옛터

관덕정에서 멀지 않은 곳에 들썩였던 또 다른 현장으로 갑니다. 오현중학원 옛터입니다. 이곳은 1947년 3월 1일 오현중학원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3·1 기념대회를 열었던 곳입니다. 이 집회는 북국민학교에서 열렸던 집회와는 별개로 제주도 내 각급 학교의 3·1기념 준비위원회가 주도한 행사였습니다.

이후 이 일로 오현중학원 교장서리 강순현이 학생들을 선동하여 3·1 집회를 연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서울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습니다. 또 오현중학원 교사였던 김봉현은 1947년 6월 일본으로 도피해 4·3에 대해 기술한 책 <제주도 무장투쟁사>와 <혈의 역사> 등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오현중학원은 오현단과 북쪽 주택가 경계로부터 의신학교(義信學敎) 옛터(이도1동 1421-2) 일대에 있었습니다. 이곳에는 오현중학원의 전신이었던 의신학교의 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9연대 정보과 옛터
9연대 정보과 옛터
9연대 헌병대 옛터
9연대 헌병대 옛터

동문시장 상가 입구를 지나 9연대 정보과 옛터, 9연대 헌병대 옛터로 갑니다. 이곳은 4·3 당시 도민들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었던 9연대의 주요 기구들입니다. 정보과 옛터와 헌병대 옛터는 도로 하나를 두고 마주보고 있습니다.

9연대 정보과는 1948년 11월 아편 중독자로 제주도민들에게 악명 높았던 정보참모 탁성록 대위가 지휘하고 있었습니다. 9연대 정보과에 ‘한 번 불려 가면 살아 돌아오지 못한다’고 알려져서 도민들은 불안에 떨었습니다. 당시 제주도민들은 9연대 탁성록 대위에 눈 밖에 나지 않기 위해 그에게 줄을 대려, 갖은 애를 썼다고 알려져 있지요.

바로 맞은편 9연대 헌병대는 군인뿐만 아니라 민간인들을 연행해서 고문하고 즉결 처형을 집행한 곳입니다. 더러는 육지 형무소로 보내지기도 했지요.

산지천을 따라 제주항으로 걸어갑니다
산지천을 따라 제주항으로 걸어갑니다
제주항
제주항
주정공장 옛터
주정공장 옛터

산지천을 따라 제주항 앞바다로 향합니다. 제주항(당시 명칭은 산지항)은 4·3 당시 불법 군법재판을 받고 타지역 형무소로 끌려간 사람들이 육지로 돌아오지 못할 길을 떠난 장소입니다. 1950년 예비검속 수감자들이 경찰서 유치장과 제주항 앞 주정공장에 수감됐다가 해군 소속 경비함정에 실려 나가 수장되기도 했습니다.

당시 제주항은 지금처럼 크지 않았습니다. 지금 어선들이 많이 모여 있는 서부두 방파제가 거의 전부였지요.

제주항 앞 주정공장 창고는 토벌군경이 제주도민을 감금하는 수용소로 활용했습니다. 특히 1949년 봄, 겨우내 추위와 배고픔에 떨던 입산자들이 대거 귀순하면서 이곳에 수감 되었습니다. 이곳에 수용된 청년들 중 대부분은 불법재판에 회부되어 타지역 형무소로 이송됐고 대부분 한국전쟁 직후 희생돼 행방불명되었습니다.

원래 이곳 주정공장은 1934년 일제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제주에서 생산되는 고구마를 원료로 주정을 제조하기 위해 건설한 곳입니다. 주정공장은 제주항여객터미널 앞 주유소 부지에 있었습니다. 현재 주정공장 옛터에는 고구마 자루를 내려 보내던 슬라이드 외에는 당시의 흔적을 찾을 수 없지만 다행히 당시의 역사를 알리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해군 제주 주둔 기념비
해군 제주 주둔 기념비

다시 시내로 돌아가는 길 표지석 하나가 눈에 띕니다. 해군이 세운 ‘제주 부대주둔 기념비’입니다. 제주4·3과 한국전쟁이 한창이었던 1950년 12월 11일 이 자리(건입동 984번지)에 해군제주기지사령부가 창설됐다고 알리고 있습니다. 해군에 따르면, 1948년 4월 이후 함정 3~4척을 제주 근해에 배치해 육군과의 합동작전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표지석에는 4·3 당시 해군의 함정을 통해 제주도민들을 타지역 형무소로 보내거나 바다에 수장시켰다는 기록은 나와 있지 않습니다. 국가권력을 휘둘러 제주도민들의 인권을 유린했다는 기록은 해군의 ‘자랑스러운’ 역사에서 빠져있습니다. 그리고 해군의 공식 백서인 <대한민국 해군창군사>에는 무장공비 토벌작전에 참가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내막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 표지석을 보며 어떤 감정을 느낄지 궁금해집니다.

제주경찰감찰청 옛터
제주경찰감찰청 옛터

답사의 반환점이었던 제주항을 떠나 다시 관덕정으로 향합니다. 돌아오는 길에 제주경찰감찰청 옛터를 지나갑니다. 제주경찰감찰청은 제주지방경찰청의 전신입니다. 경찰조직은 4·3 봉기 이후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펼쳤습니다. 봉기 3일째인 1948년 4월 5일 제주도비상경비사령부를 설치해 토벌작전을 시작합니다. 1950년대 이후에는 인민유격대의 귀순공작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제주신보사 옛터와 서북청년단 옛터에도 잠시 들렀습니다. 제주신보사는 해방 이후 제주도의 유일한 언론매체였습니다. 1945년 10월 1일 창간한, 전국 최초의 지방 신문이기도 합니다. 4·3 봉기 이후 기자들이 종종 기사 때문에 당국에 잡혀가는 등 고초를 겪었습니다. 1948년 10월 여순항쟁이 일어난 직후 당시 편집국장이었던 김호진이 이덕구 인민유격대 사령관 명의의 포고문을 인쇄했다는 것으로 군 수사대에 끌려가 조사를 받다가 1948년 10월 31일 박성내(현 제주시 아라동 소재) 인근에서 총살됐습니다. 1949년 초 서북청년단이 제주신보사를 강제 접수해 직접 신문 발행에 관여하기도 했습니다.

제주신보사에서 걸어서 1분 남짓한 곳에 서북청년단 제주도본부 옛터가 있습니다. 경찰, 군인으로 토벌작전을 펼치기 어려워지자, 이승만 정부는 이들을 제주에 내려보내 작전에 투입합니다.

옥성정 옛터

서북청년단은 경찰, 군인과의 합동작전을 통해 당시 제주도민들을 학살했을 뿐만 아니라 일제 적산가옥 관리를 맡았던 신한공사의 재산을 빼앗는 등 경제적 착취도 일삼았습니다. 제주에 내려올 때 이승만 정부는 서청단원들에 대한 월급이나 보급체계를 갖추지 못한채 내려보내 “마을에서 얻어먹으며 진압하라”고 말했기 때문이지요.

마지막으로 옥성정 옛터를 찾았습니다. 이곳은 1947년 6월 17일 당시 9연대 최고 책임자였던 박진경 대령(진급)의 승진 축하연이 있었던 곳입니다. 옥성정은 당시 제주읍내에서 가장 큰 2층 규모의 요정이었습니다. 박진경 대령은 제주 부임 한달 만에 미군정으로부터 제주 토벌작전의 공로를 인정받아 대령으로 승진됐습니다.

그날 밤 축하연을 마치고 박진경 대령은 연대 본부가 있었던 제주농업학교 옛터에서 잠을 청하던 중, 문상길 중위와 손선호 하사에게 피살됩니다.

이후 박진경 대령은 육군장(葬) 제1호로 치러진 반면, 그를 사살한 문상길 중위와 손선호 하사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사형 집행 1호’로 기록되며 1948년 9월 23일 경기도 수색에서 총살형이 집행되었습니다. 그리고 1952년 11월 7일 제주도민과 군경후원회의 명의로 박진경 대령 순직 충혼비가 세워졌고 아직도 제주시 충혼묘지에 서 있습니다.

무심코 지나갔던 곳들이 새로워 보입니다. 그곳에 있었던 많은 사람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 기억을 ‘빼앗긴’ 장소에서 제주4·3을, 그리고 그 위에 발 딛고 있는 나 자신을 생각해봅니다.

<끝>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제주항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제주항

관련 글들

국내외 연대활동
2024.11.12.

[공동기자회견] 전쟁 프로세스를 평화 프로세스로! 윤석열 정권의 정책 전환을 촉구한다

자세히 보기
제주다크투어 이야기
2024.10.30.

참 정부가 무도하고 너무 악질이다

자세히 보기
제주다크투어 이야기
2024.10.30.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런 재판 있을 수 없다

자세히 보기